- 이슈일자 : 2021년 08월 04일
- 이슈내용 : PuTTY(유닉스 터미널)을 이용하여 Weblogic 종료및 시작을 할 수 없는 이슈발생!!
- 에러내용 : Could not obtain the localhost address. The most likely cause is an error in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is machine.
- 해결한 과정 : 구글링을 통하여 에러 내용을 검색한 후 찾아본 결과 서버에서 해당 Host를 찾을 수 없는 이슈였다. hosts 파일에 해당 서버의 호스트 명을 넣어주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한다고 했다. 하지만 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유닉스에서는 hosts를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것처럼 유닉스를 타 회사도 관리하고 사용을 한다. 타 회사 사람이 내가 Weblogic Server를 Update를 하려고 하기 전에 hosts 권한을 수정한 것이다. 그래서 hosts 권한을 다시 rollback 시키고 유닉스 터미널에서 Weblogic Server Shutdown/Startup이 마법처럼 너무 잘 되었다.
- 이슈가 발생하고 나의 심정 : 회사 입사하고 첫 실제 웹서버에 있는 파일을 수정하는 작업이어서 걱정이 많았다. 물론 옆에 선임 개발자가 있었지만, 혹여나 내가 잘못하면 어떡하지라는 불안함이 있었는데 처음으로 PuTTY에서 웹서버를 내리려는 찰라.. 에러 문구가 나서 이미 멘탈은 승천하고 선임 개발자에게 Help Me 외치고 선임 개발자가 만져도 해결이 안 돼서 나는 불안감 수치가 우주까지 올라갔다. 머릿속은 점점 새하얗게 변하려다가 갑자기 우리 회사 부장님 중 한 분이 등장하면서 hosts 이야기를 듣고 어디에다가 전화하면서 hosts 작업하지 않았냐고 말을 하면서 hosts 작업하신 분이 등장하였다. 나는 그분의 등장과 부장님의 전화를 통한 한줄기의 동아줄을 보았고 그것을 잡았다. 결과적으로 그 동아줄은 튼튼한 동아줄이었다. hosts를 rollback을 하자 모세의 기적처럼 웹서버는 종료와 시작이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되었다. 나는 내 잘못이 아닌 것에 안도감을 느꼈지만 이미 멘탈은 부서지고 너덜너덜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고 다행히도 무사히 수정작업은 끝냈다. --> 이 이슈는 정말 정글 밀림을 탈출한 느낌이었다.
번외 : Weblogic Cluster라는 기능이 있다. 아래에 설명처럼 여러 개의 서버가 하나인 서버인 것처럼 보여준다. 처음에 Weblogic Cluster기능을 듣고 새로운 기능을 알게 되어 색달랐다. 회사에서 Weblogic Server에서는 class, xml 등 수정한 파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PuTTY(유닉스 터미널)에서 Server를 다 종료하고 Weblogic 웹페이지에 reload 버튼을 눌러 기능을 실행해야 수정된 파일로 반영된다는 거에 의외였다. Tomcat은 WAS을 이용할 때는 Server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면 reload가 돼서 Weblogic도 Server를 종료하고 시작하면 reload 될 거라는 생각을 했는데 아녀서 번거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Weblogic Server Cluster : 웹로직 서버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그룹 지어진 서버들의 하나의 도메인처럼 작동하도록 하여 실제로는 여러 개의 서버가 하나의 서버인 것처럼 서비스 되어지는 기능이다.
'프로그래밍 이슈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08월 31일[톰캣 timeout error] (0) | 2021.09.01 |
---|---|
2021년 08월 30일 [전자정부프레임워크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0) | 2021.09.01 |
2021년 06월 07일[Ajax 배열 데이터 ISSUE] (0) | 2021.08.27 |
2021년 08월 23일[request parameter 한글인 경우 한글이 깨짐.] (0) | 2021.08.23 |
21년 08월 11일[Spring Scheduled Method 연속으로 2번 실행] (0) | 2021.08.12 |